리눅스 디렉토리 구조
/bin: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(binary)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.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기본적인 명령어들이 모여있다
/boot: 부팅에 핵심적인 커널 이미지와 부팅 정보 파일을 담고 있는 디렉토리. Etc/lilp.conf에서 지정한 커널 부팅 이미지 파일이 들어있으며 부팅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.
/dev: 디파이스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.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/etc: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. 네트워크 관련 설정 파일, 사용자 정보 및 암호정보, 파일시스템 정보, 보안파일 등
/home: 리눅스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(계정명과 동일)가 만들어지는 디렉토리
/lib: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동적으로 로드되는 라이브러리 파일
lib32
lib64
libx32
/lost+found: 손상된 파일 조각이나 결함이 있는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. 마운트되는 모든 장치의 최상위 위치에 자동으로 생성된다.
/media: 제거 가능한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디렉토리 (cd-rom, usb)
/mnt: 파일 시스템 마운트 포인트
/opt: 패키지 형태가 아닌 빌드된 상태로 배포되는 응용프로그램의 설치 목적으로 사용되는 디렉토리. Windows의 program files 디렉토리와 용도가 같다.
/proc: 현재 동작중인 프로세스들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.
/root: 시스템 관리자의 홈 디렉토리 일반 사용자는 접근하지 못한다.
/run: 런타임 가변 데이터 디렉토리
/sbin: bin 디렉토리와 유사하지만 루트유저만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바이너리
snap
/srv: 서비스를 위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
/sys: 리눅스 커널 관련 정보가 있는 디렉토리
/tmp: 시스템 사용 중 발생한 임시데이터가 저장되는 디렉토리. 부팅시 초기화된다.
/usr: 기본 실행파일과 라이브러리 파일, 헤더 파일 등의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. 대부분의 응용프로그램과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.
/usr/local: 패키지 매니저가 아닌 소스코드를 다운받아 직접 빌드하여 설치하는 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.
/var: 시스템 운영 중에 발생한 데이터와 로그가 저장되는 디렉토리